✅ 다양한 시선
✅ 다양한 시선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은 학교 교육에 AI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 탐구와 개념 기반의 깊이 있는 학습 구현
▲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한 환경 조성
▲ 학생 한 명 한 명을 인재로 키우기 위한 맞춤 교육의 실현
등을 위해 교육시스템을 개선하고 변화시키는 교육체제 전반의 변화를 의미한다.
학생은 최적화된 맞춤 학습 콘텐츠로 배우고,
교사는 데이터 기반으로 수업을 디자인하고,
학부모는 자녀의 활동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교육 현장으로의 변화
🟩 AI디지털교과서 프로토타입
첫번째 AI디지털교과서 심위를 위한 전시본은 웹사이트를 통해서 만들어지며, 그 웹사이트에 모든 AI디지털교과서가 탑재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교사용 LMS와 학생용 두가지 모두 제공되며, 원할한 시연을 위해서 더미데이터(가상데이터)로 학습이 이루어진 상태로 제공된다고 합니다. 그냥 대충 이런 기능이 있어요가 아니라 누르면 진짜 제대로 구현되는 형태로 제공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누르는 형태가 어색할 수 있으니 모든 교과서가 3분 내외의 소개 동영상도 제공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12월 초에 공개된다고 합니다.
두번째 이 전시본 AI디지털교과서 웹사이트를 통해서 연수를 하는 것은 가능하며, 이 전시본이 공개 된 이후에는 프로토타입은 사용하지 않고, 이 전시본을 통해서 연수를 진행해달라고 합니다. 다만 특정교과서로 할 경우 공정성 시비에 걸릴 수있으며 이를 교육부에서 보호해줄 수는 없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연수시에는 꼭 공개되는 영상(3분남짓)으로 모든 회사의 교과서를 소개하고나서 연수생들이 요청하는 교과서로 진행하기를 권고한다고 합니다. 찾아가는 학교연수의 경우에는 학교에 미리 어떤 교과서로 진행해달라고 요청을 받고 진행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토대로 맞춤형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맞춤형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생 데이터를 근거로 한 상담 및 평가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의 학습패턴과 성취도 등을 분석해 개별 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맞춘 목표와 과제를 부여하고, 보충학습 자료나 추가학습 자료 등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개별 학습 성향을 고려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교사는 개별 학생에 대한 리포트를 바탕으로 학급의 학습 준비도나 흥미를 고려하여 강의식 수업 외에도 토론 수업,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수업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AI가 학생의 학습 참여도, 성취도, 흥미 등의 추이를 분석하여 학생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담과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프로토타입>
△ 대시보드를 통한 학생의 학습데이터 분석 제공
△ 학습 진단과 분석
△ 학생별 최적의 학습경로와 콘텐츠 추천
△ 교사 대상 수업 설계와 맞춤 처방과 콘텐츠 재구성과 추가, 학생 학습이력 관리 기능 등을 개발·검증
수학 프로토타입
영어 프로토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