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구성 사례

배움과 성장 중심의 수업 평가 기록 교육과정 설계.pdf
1학년 재구성 사례 나눔
교육과정 재구성관련 연수물
4-6차시 -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
교육과정 분석표_1-2학년군.pdf
2015 개정교육과정 1학년 교과별 맵핑자료(2021).pdf

🟧 교육과정 재구성 예시

교육과정 재구성 예시(1학년).pdf

🟧 구상안 예시 

2022_구상안예시.pdf
2022_구상안예시2.pdf
2022_구상안예시3.pdf

✅ 2022 개정교육과정

🟧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역량'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살펴본 '역량'

역량 중심 교육과정은 OECD의 DeSeCo프로젝트(데세코 프로젝트,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에서부터 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직업 사회의 필요에서 시작되었지만 교육에까지 적용되어 2015 교육과정의 방향이 되었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 보고 있다. 

 

최근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가 발표되면서 '학생의 행위 주체성(student agency) 및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dies)'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도 반영되었는데, 관련 프로젝트에서는 2030년 무렵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핵심역량은 무엇인가?,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이 이를 어떻게 학습하고 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할 것인가? 라는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역량 개념틀(프레임워크)'로 'OECD Learning Compass(학습 나침반)'을 개발하여 발표하였다. 구체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추진배경에 다음과 같이 OECD Education 2030을 인용하고 있다.

OECD Education 2030 학습나침반에서 '역량'

학습나침반은 미래 학습자가 어떻게 삶을 향해 나갈 것인지 미래 교육의 원리에 대해 도식화 한 것이다. 

교육의 최종목적을 개인과 사회의 웰빙으로 보았고, 이는 자신의 삶에 책임감을 갖고 나와 사회의 성장에 기여하는 학생의 모습인 '학생 행위주체성'을 통해 실현된다.  

여기서 역량은 '복잡한 요구를 총족시키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를 동원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역량이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부모', '교사', 친구', '지역사회'가 협력적으로 역할을 주고 받아야 한다. 

- 지식: 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실, 개념, 아이디어, 이론, 개별 학문별 지식/간학문적 지식/인식론적 지식/절차적 지식으로 구분 

- 기능: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지식을 활용하고 과정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 인지적·메타인지적 기술/사회·정서적 기술/ 육체·실용적 기술로 구분 

- 태도와 가치: 학생의 선택, 판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이자 신념, 개인적/지역적/사회적/국제적 수준과 성격에 따라 구분 

이 프로젝트에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자신의 삶과 주변 세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능력, 의지, 신념으로 정의된다(OECD, 2019b).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깊이 있는 학습, 교과 간 연계와 통합, 삶과 연계한 학습,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을 개발의 지향점으로 삼았다(교육부, 2021, 온정덕 외, 2021).